토픽 부동산

LH 철근누락 관련기사 해석

DL건설 · !********
작성일2023.08.01. 조회수1,345 댓글21

핵심은 LH가 가져오고 승인한 무량판 구조도면이야.

—————
1. 양주~현장, 154개소 중 154개소 누락이라는 건

아파트 전체에 철근이 1 가닥도 없다는 게 아니라

‘무량판 구조에 해당하는 지하주차장 기둥 154개’
중 ‘구조계산(이 중에서도 전단계산) 누락’이
모든 기둥 숫자 154 건에 해당한다는 이야기

—————-
2. 시공이 아니라 설계 단계에서 이미 누락되었다는 뜻

설계사 : LH에서 준 무량판 공법 적용해서 설계
LH : 승인,
이대로 수량산출해서 내역 발주, 시공사와 계약

시공사 : 도면대로 시공
감리 : 시공사가 도면대로 시공했는지 확인
LH : 감리가 제대로 확인했는지 확인

—————
3. GS건은 CMR이라고

설계단계에 참여하는 게 있는데
이 부분이 조금 애매하고
(구조 공법까지 바꾸거나 관여하는 일 없음)
(~ 도면이 미흡하니 재검토 해달라 요청했었음)

누락된 채로 넘어온 기둥 중 4개는
놓쳐서 시공한 건 오시공이고 잘못한 건 맞는데

이게 크리티컬하다 보이진 않지만
잘못한 게 있으니 납짝 엎드린 꼴이고

(100에서 50으로 도면나오고
그 수량으로 LH와 계약했는데
주어진 50에서 도면을 잘못보거나 확인을 잘못해
49정도 시공)

—————
4. 아래 사례들은 설계에 누락되었지만
추가로 비용을 들여 보완공사 완료했거나
하고 있는 사례들

————-
요약 하자면

- 시공사에서 철근 삥땅이라기엔 애초에 누락되어 왔었고

- 일부 사례 제외하고는 도면대로 시공했으며

- 제대로 된 회사들은
(‘도면대로 하세요’ 도면무새 임에도) LH상대로
설계변경을 통해 도급증액 성공해 보완공사 완료했음

LH 철근누락 관련기사 해석

댓글 21

새회사 · i********

블라의 순기능👍

삼성SDS · l*********

크리티컬하지 않은게 무너짐?ㄷㄷ

한국철도공사 · l********

이번에 국평오 제대로 느꼈다

154개소 누락을
철근이 아예없다로 해석하는 애들 개많아서 놀램

DL건설 · !******** 작성자

기자가 자극적이게 제목을 뽑아서 그럴지도요

작성일2023.08.01.

서울특별시 · 1*********

3은 애매한게 문제가 아니라 거기 토사 두배로 쌓아둔게 붕괴 가장큰 원인일듯 경량토로 했는지 일반흙으로 했는지 모르겠지만 아무리 경량토라도 엄청 무거울텐데

DL건설 · !******** 작성자

나무 심는 곳 아니면
인공토까지 쓸 일이 더더욱 없으니

일반 흙이었을듯

GS건설 · 동*****

거기에 비까지 와서 흙이 더 무거워졌대요

DL건설 · !******** 작성자

보수적으로 구조계산을 해놨어야 맞는건데

한국전력공사 · i********

LH는 발주처니 도면 제대로 안 그린 설계사, 시공사, 감리사 잘못이래던데???

삼성전자 · ,*********

그 모든걸 책임지는게 발주처야

작성일2023.08.01.

DL건설 · !******** 작성자

이렇게 자기들이 사업주체가 아닌
집주인 역할만 하는걸로

착각하시는 감독님들 글 본 것 아니세요?

대댓글 이미지

작성일2023.08.01.

한국전력공사 · i********

난 LH직원이 저렇게 생각한다는게 충격적이야… 자기들이 돈갖고 진짜 발주만 하는 역할로 생각한다는건데… 이건 심각한 배임인데?

작성일2023.08.02.

작성자가 삭제한 댓글입니다.

DL건설 · ‭********

음, 이미 대처 잘한 시공사들 있는거 같고...
정의의 지팡이횽 돈을 안주고 일을 시키면 안되지? 사장님이 돈을 안주고 직원들 야근 시켜도 되는거야...? 아니 그냥 그렇다구
시공사들 잘못도 있을 순 있겠지만, LH집마련의 꿈은 그걸 쉽게 허락하지 않거든...

작성일2023.08.02.

삼성전자 · 1*****

설계도대로만 했데 ㅋㅋㅋ 업력이 한두해도 아니고 수십년 건설하던 회사랑 감리가 설계도보고 이상하다 생각도 안하냐 ㅋㅋㅋㅋ 다 한 통속이란 이야기야
속으로 다 알고 진행것들끼리 니책임내책임 ㅇㅈㄹ ㅋㅋㅋㅋ

DL건설 · !******** 작성자

실상은 설계누락이고
이미 철근 빠진 채로 발주, 계약한 거임

그리고 결론적으로 설계변경해서 추가했음.

도면검토 순서는 발주처 > 감리 > 시공사임.
책임도 똑같은 순서

일상적으로 시공사 혼자 잡아내지만
감리나 발주처는 답변은 항상 ‘도면대로 해’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용들여 보완했다는 내용임

———-
GS가 바짝 엎드렸던 이유는
어찌됐든 발생한 휴먼에러 때문이고

크리티컬한 설계오류 관련해서는
이들도 1공구, 2공구 철근 물량 차이가 커서
설계사, 발주처에 의문을 제가했지만.

문제없으니 진행시키라는 답변 받았다고함.

대댓글 이미지

작성일2023.08.02.

한국토지주택공사 · g*****

https://n.news.naver.com/article/003/0012009336?sid=101

lh만의 문제인지 건설업계문제인지 전수조사하면 나오겠지

새회사 · c*****

현재 시공중인 주거용오피스텔 같은곳은 안하는건가 걍 공사중인 곳들 지방까지 모조리 다했으면..

인기 채용

더보기

토픽 베스트

탐조 생활
🍷와린이부터 와른이까지🍷
🐉 청룡띠 임신,출산,육아
☕️카페&홈카페☕️
★ 다이어리 꾸미기 ★
헬스·다이어트
부동산
오늘 뭐 먹지?
직장인 취미생활
대구경북 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