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주식·투자

한국 부동산 거래 관행이 바뀔까?

스타트업 · p******
작성일2021.01.03. 조회수762 댓글4

지난 해 아직 서비스가 출시되지 않은 부동산테크 스타트업 “동네”가 45억원 시드 투자를 받았습니다. The VC 기준으로는 Series A라는데, Techcrunch 기준으론 시드가 맞습니다.

ㅇ 이 회사의 창업자는 위워크 코리아 지사장 및 APAC을 리드한 매튜 샴페인(한국 이름 차민근님. 유명 여배우의 남편분)님입니다.

ㅇ 한국 부동산 시장에 틈이 있다고 생각하고 창업을 했다고 합니다.

ㅇ 우리나라의 부동산테크 시장의 경우 미국식의 MLS (멀티플 리스팅 시스템)이 없다고 이 회사는 정의하고 있습니다.

ㅇ 우리 인구수는 미국의 1/6 수준인데, 공인중개인 수는 비슷하다는 것인데 그만큼 영세하고 특정 물건에 대해서 경쟁이 없다보니, 시장이 고만고만하다는 것이구요.

ㅇ 중개인이 부동사는 파는 사람/사는사람의 중재자에 집중하다보니, 진정한 부동산을 사는 입장에서 이익은 없었다가 이 회사가 주장하는 요지입니다.

<한국의 부동산 시장을 볼 때 의미 있는 서비스가 될 것 같긴 합니다>
ㅇ 경실련이 올 8월 발표한 내용에 따르면

ㅇ 문재인 정부의 서울 집값 상승률은 34% 아파트 값은 52% 였습니다.

ㅇ 참고로 이전 두 정부의 아파트값 상승률은 26% 수준입니다.

ㅇ 서울 지역 근로자의 평균 연봉이 3,646만원인데, 10억원 짜리 집을 사려면 27년 넘게 안쓰고 모아야 합니다.

ㅇ 생애 가장 비싼 제품을 구입함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은 1)정보의 비대칭 2) 과연 이 가격이 합리적인지 3) 판매자의 호가 중심으로 가격이 형성된 시장에 살고 있습니다.

이번 동네 투자는 모두 미국계 VC가 주도했습니다. 과연 이들이 봄에 출시한 상품은 시장에 영향이 있을까요?

아울러 이 글을 읽으신 업계 관계자 분의 코멘트는

ㅇ 한국 부동산 형성의 큰축은 정부 정책과 규제라고 생각한다.
ㅇ 한국에서 MLS가 되기 어려운 이유는
ㅇ 한국은 사실상 중개인망이라는 지역별 별도의 시스템이 있다.
ㅇ 한국의 경우 미국과 달리 단독중개가 아닌 공동중개가 일반적이다.

이었습니다. 상세 링크 공유드립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https://news.google.com/articles/CAIiENIcw8sXw8GBZm-b2AQV8xMqGQgEKhAIACoHCAow3KKcCzDwrLQDMKO77wY?hl=en-US&gl=US&ceid=US%3Aen

댓글 4

SK이노베이션 · 통*****

이름이 동네라서 검색이 잘 안되는데 관련 사이트 없나요?

스타트업 · p****** 작성자

https://www.dongnae.com/index.html

아직 서비스는 출시 안했더라구요.

작성일2021.01.03.

스타트업 · p****** 작성자

대부분 그러시더라구요. 여기 다 아는 사람들 판이라구요... ㅠㅠ

인기 채용

더보기

토픽 베스트

무한도전 추억팔이
알테오젠 주주
돌싱글즈
2차전지 라운지
직장인 취미생활
여행·먹방
이직·커리어
직장인 취미생활
클라이밍
로드 자전거 이것 저것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