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블라블라

앞으로도 계속 학벌이 중요할까?

NHN · e*********
작성일2021.12.16. 조회수1,193 댓글72

20대까지만 해도 학벌콤플렉스도 심했고
명문대 나온 사람들 엄청 부럽고 그랬거든

근데 지금 30대 중후반 넘어가고 살아보니
돈벌어먹고 잘사는데에 학벌이 그닥 중요하지가 않더라고.

지금 회사 8년째 다니면서
아무도 대학 물어본적이 없었어. (팀원들 대학 서로 다 모름)

그것보다도 뭘 잘하는지 뭘 하고싶은지 일찍 찾는게
더 중요한거같아.

동창중에도 나중에 보니 학벌이랑 상관없이
잘될놈 잘되고 안풀리는애들 안풀리고 그러더라

그래서 지금 아기 한명 키우는데 앞으로 어떻게 키워야할지
사교육은 어느정도 시켜야할지 고민이네

댓글 72

LG CNS · 섹**

공무원으로 치면 5급 출신이냐 9급 출신이냐 차이 아닐까

새회사 · 믿**

학벌이 중요하다기보다 거기서 배우는 것들이 더 중요하지만 좋은 학벌이 보통은 더 좋은 배움이 있겠지 대학은 타이틀이 아니고 배우는 곳이니

변호사 · Q*****

내 인생살면서 노력대비 제일 그 효과를 많이 또 길게 누렸던게 학벌이었던거 같음. 앞으로도 크게 변할거라곤 생각않함. 학벌은 결과보장 측면보다 기회획득 측면에서 가성비가 씹넘사임.

새회사 · 문**

형 말 맞는 듯ㅋㅋㅋ
내가 학부만 ky 나오고, 로스쿨은 sky 못 나왔는데,
내 수준에서도 학벌 메리트를 어느 정도 느끼는데,
그 위는 확실히 엄청 느끼더라.
(우리 아버지가 s 법대라서 보니까... 장난 아니긴 함ㅋㅋ.. 부럽기도 하고.)

NHN · e********* 작성자

음 직종마다 다르겠네! 님은 변호사니까. 변호사는 공부를 당연히 해야하는거고...
아무래도 이건 분야마다 다르게 적용하는거같다!
공부가 제일 쉬웠어요 뭐 그런건가 ㅋㅋㅋ 근데 공부도 수만가지 재능중에 하나니깐 ㅎㅎㅎ

새회사 · 문**

상위~최상위 계층에서는 중요해.
중~상위 계층에서도 어느 정도 중요하고,
단지 평균 중산층 수준 이하에서 만족할 거면 크게 의미를 두지 않아도 될 사회적 분위기가 조성되는 건 맞아.

변호사 쪽도 과거에 비해서는 학벌 인식이 어느 정도 옅어지긴 했거든. (그래도 만연!)

NHN · e********* 작성자

? 오히려 상위 최상위 계층중에 학벌 상관없는 사람들 꽤 봤는데...
걍 직종마다 다른거같아 여기 댓글 보니깐 ㅎㅎ
학벌이 필요한 직종은 학벌이 중요하고
아닌직종은 아닌거지 ㅎㅎ
근데 앞으로 직업이 워낙 다양해진다는점에서
좀 더 변하지않을까 싶은거고!

새회사 · 문**

차상위는 저소득 이하 계층을 말하는 의미로 쓰이는데, 최상위 말하는 거지?

재벌(모든 재벌이 그런 건 아님, 한진그룹 같은..)이나 어느 정도 좀 격조 있는 집안은 학벌 중요시 여기긴 해.

단순히 돈만 많이 벌어서 상위, 최상위 계층이 된 집안에서는 아닐 수 있긴 한데,

여튼 명예가 중요시되는 계층이라 전반적으로는 절대 옅지 않긴 해.

새회사 · 문**

여튼 형? 누나? 말대로 직업의 다양성이 보장되고 있는 현대 사회에서의 학벌의 중요성은 옅어지는 건 팩트 같아 :).

스타트업 · l*****

내 주위에 SKY 카이스트 포공 아닌 대기업 임원들 꽤 알고 있음. 물론 명문대 임원들은 훨씬 더 많긴 하지만. 동문들 보면 그냥 학벌보다는 실력빨임. 그리고 아무리 명문대 나와도 실력 없으면 있던 인맥도 사라진다. 아무래도 명문대 들어갈 정도면 그만한 머리는 있다는거고. 그러다보니 당연히 명문대 출신이 더 성공하긴 하다만. 뛰어난 머리만 있다면 학벌 정도는 충분히 극복하더라.

내가 대학 다닐 때만 해도 사교육이 이 정도로 극성은 아니어서 뛰어난 머리 = 명문대 입학 상관관계가 있었는데 요즘 아이들 교육 시키면서 보니 이제는 그게 아닌거 같더라. 그것보다는 부모의 재력, 노력 등이 훨씬 더 좌우하는 상황이고. 이런 교육으로 들어온 명문대 출신들은 학벌 효과 내기 힘들거야. 자기주도학습으로 명문대 간 친구들은 학벌 때문이 아니라 그 학습력과 머리 때문에 잘 나갈거고.

새회사 · 문**

형이 말한대로 능력이 충분조건이면, 학벌은 필요조건 정도로 생각하면 될 듯!

NHN · e********* 작성자

그렇지 아무래도 공부머리랑 사업능력, 커뮤니케이션능력이랑은 완전 다르니깐.
아이가 뭘 잘하는지 하고싶은지에 따라서 방향을 정해야겠다!

LG에너지솔루션 · t******

공부머리 일머리 다르다.. 나도 어디서 꿇리진않는 학벌인데 성공과의 상관관계는 거의 없고 그렇다고해서 학창시절에 열심히 살아온것이 부정당하는 것도 아닌데 이를 악물고 학벌이 마치 인생 마패마냥 말하는 사람들이 많네 그런 마인드면 내옆에 나보다 학벌훨씬낮은 사람이 앉아있으면 참으로 자랑스럽겠다 ㅋㅋ

NHN · e********* 작성자

마자 공부머리랑 일머리 너무너무 다름
울 상사중에 서울대 나오신분 계신대 일을 너무 못해서 결국 좌천됨...
직장에서는 여러가지 능력 요소가 필요한데 그게 꼭 공부말고도 너무 다양함. 커뮤니케이션 능력이라던지 실무능력 일처리능력 등등
물론 아직까진 학연 지연관계들이 존재하긴 하겠지만 이것도 앞으로는 많이 변할거임.
그리고 우리세대 말고 당장 우리 다음세대부터 직장인을 꿈으로 삼는애들이 현저히 떨어짐ㅋㅋㅋ 직업이 너무나 다양해지고있음... 사촌들만 봐도 대학 안간다는 애들이 반임
인구도 줄어들거고 지금도 당장 인기기업이 아닌이상 구인난 심각한데 앞으로는 더 심해질거임.
물론 뭐든 열심히는 해야겠지!

LG에너지솔루션 · t******

난 공부는 필여하다고 봄 솔직히 유튜버나 이런거 해서 돈 많이벌면 좋지만 인류에 도움되는 일은 아니라고봄 모두가 직장인을 하지 않으면 그래서 세금을 잘 내고 생산적인일을 하지 않으면 인류는 멸종할것이기 때문임.. 결국 우리도 공부잘했던 누군가(이를테면 과학자) 들에게 알게모르게 도움을 받으며 발전하고 있기 때문임 나 역시도 내가 하는 일이 인간세상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고 회사에 다니는거고

NHN · e********* 작성자

공부는 물론 해야겠지 근데 그게 국영수사과 이런 대학을 가기위한 공부와는 다른거같아.
그리고 일반 사업자, 프리랜서들도 세금 잘 내는걸 ㅎㅎ
설령 유투버가 되고자 한다 해도 편집기술도 공부해야하고 컨텐츠에따라서 외국어를 공부해야한다던지 공부해야하는건 동일해!
꼭 직장인만이 생산적인일을 하는건 아닌거같아. 유투버도 어떤 측면에서는 인류에 도움은 된다고 생각함. 나도 첨엔 부정적으로 생각했는데 이거 또한 편견이였음

새회사 · 시*******

대한민국에서 학연 지연 혈연 사라지기 전까진 중요하지 않을까?? 조국 딸이나 윤석렬 와이프가 그렇게 발버둥 치면서 학벌을 위조한거 보면 오래 갈 거 같음.

새회사 · t*******

그 학벌이란게 어느수준 이상이면 자기 능력따라 가는데 얼토당토 않은 수준이면 그중에 용나기는 많이 힘든거같아

NHN · e********* 작성자

원서만 내면 백프로 합격하는 그정도 선을 말하는건가?? 웹툰 복학왕에 나온 대학정도... 사실 그정도면 난 대학 안보낼래...

새회사 · t*******

아니 적어도 어디에 있는지 정도는 누구나 아는 대학 말하는겨

락앤락 · i******

진입에선 중요하고, 진입 후엔 덜 중요하고.. 그런거지 뭐.

인기 채용

더보기

블라블라 추천 글

토픽 베스트

개그👩🏻‍🏫👨🏻‍🏫연구회
호모 쇼피엔스: 쇼핑중독자의 모임
블루아카이브
오늘의 강남 뉴스 📣
결혼생활
C++
OTT뭐볼까
자녀교육·입시
추천코드·프리퀀시
기술사